Home / Papers / 거주자 UX(User Experience)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단말기의 UXD(User Experience Design)...

거주자 UX(User Experience)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단말기의 UXD(User Experience Design) 연구

88 Citations2019
김성진
journal unavailable

No TL;DR found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공동주택에서 현재 기본 제공되는 빌트인 시스템이며, 입주민의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공동주택 브랜드별 자체 앱(app)의 도입을 통해 사용성이 더욱 제고되고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고객과의 접점이 되는 월패드는 세대 내의 대표적이며 친숙한 디바이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홈의 IoT 시스템의 대표 아이템인 월패드의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서 사용성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개발 결과물을 설명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공동주택의 홈네트워크 단말기 기능 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호출 및 알람기능을 중심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우선, 이론고찰을 통해 IoT환경에서의 UI와 UX의 정의와 의의를 고찰하고, 30평형대의 단위세대에서 소비자 행동관찰 및 경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insight)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선을 위한 디바이스(가칭. 조용한 초인종)의 UXD 및 월패드 UI를 구상하고 개선 및 개발된 결과물을 전문가 조사(인터뷰 및 정성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도출한 Insight를 바탕으로 구현한 디바이스(가칭. 조용한 초인종)의 디자인 및 월패드 UI(User Interface)의 서비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소리모드(Sound Mode)는 기존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대현관과 공동현관, 경비실의 호출시 벨소리로 서비스된다. 반면, 시각모드(Light Mode)에서는 새롭게 개발한 라이팅 디바이스(가칭 조용한 초인종)에서 불빛 정보(색상 및 깜박임 속도 등)와 같이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세대현관 및 공동현관, 경비실 호출시는 녹색(Green 계열) 플래쉬가 점멸하고 서브폰(주방TV, 욕실폰 등)에서는 무음 동작한다. 택배 및 공지사항, 입차 등의 정보 알림시 플래쉬 점멸은 없고 월패드에서는 알림 화면 표시된다. 비상상황(침입감지/비상버튼)시는 적색(Red 계열)의 플래쉬가 점멸하며 사운드도 동시에 발생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라이팅과 스마트폰의 동시모드로 설정하면 라이팅 모드시,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폰의 앱에서도 가입자 대상의 알림 팝업이 작동되어 라이팅 신호를 놓칠 수 있는 경우를 보완하는 장치가 된다. 마지막으로 전체 선택 모드(All Mode)도 상황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시간 설정은 라이팅 모드가 설정된 일정시간 이후에는 기본모드(Sound Mode)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결론) 본 디자인 과정과 디바이스(가칭. 조용한 초인종) 개발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랫동안 고착화된 월패드의 UI 개선 및 스마트폰 연동 설계를 통해 사용자 접점의 월패드의 UX환경을 개선하였다. 둘째, 난청노인, 청각장애인,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 재택근무자, 수험생 등 시장에서 메인 타겟군이 아니였던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디바이스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색채의 변화와 움직임을 통해 직관적으로 다양한 상황의 정보 전달을 통해 UX 기반의 IoT 환경과 디바이스의 개발시 고려요소를 확장하였다. 향후, 알람 기능 외에 에너지 소비 목표량 경고치 도달 및 디바이스(가칭. 조용한 초인종)의 주거공간에서의 거주자의 동선과 이에 따른 최적의 설치위치와 개소 문제 및 단지 내 방송과 통합 연계하는 문제들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하는 과제이다.